![[Java] 백준 11868번 문제 (님 게임2)](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XeKHs%2FbtsxgTt8r3m%2FKJYKug98cayLMKylsz2690%2Fimg.png)
문제설명 소스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xor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ySQL] 데이터 변경을 위한 SQL문(INSERT, UPDATE, DELETE)](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yfOfS%2Fbtsv9NJP1wN%2FgANrDGYDTwLZAowi9Uio2k%2Fimg.jpg)
이 글은 혼자 공부하는 SQL(저자 : 우재남)의 책과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을 만든 후에는 데이터를 변경하는, 즉 입력/수정/삭제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새로 가입한 회원을 테이블에 입력할 때는 INSERT 문을, 회원의 주소나 연락처가 변경되어 정보를 수정할 때는 UPDATE문을 사용한다. 회원이 탈퇴해서 회원을 삭제할 때는 DELETE문을 사용한다. 데이터 입력 : INSERT INSERT문의 기본 문법 테이블에 행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본적인 SQL문은 INSERT이다. INSERT INTO 테이블이름(열1, 열2, 열3) VALUES (값1, 값2, 값3); 테이블 이름 다음에 나오는 열은 생략이 가능하다. 열 이름을 생략할 경..
![[DB 이론]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X1r0L%2FbtswbdORvCI%2FZm3oY9ohqAyvyJePfRLV0k%2Fimg.png)
이 글은 데이터베이스 개론 (저자 김연희)의 내용을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 배경 과거에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파일 시스템 환경에서는 응용 프로그래머가 파일의 논리적인 구조뿐 아니라 물리적인 구조까지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그래야 필요한 데이터에 직접 접근하여 처리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었다. 파일 시스템은 별도의 구매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응용 프로그램마다 파일을 따로 유지해야 하는 특징 때문에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여러 파일에 중복 저장된다.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 파일에 종속적이다. 데이터 파일에 대한 동시, 공유 보안, 회복 기능이 부족하다. 응용 프로..
![[Java] 백준 1252번 문제 (이진수 덧셈)](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AsJ8V%2FbtswcI154aF%2Fw4hGNK77FwaPeMuwdeKDUk%2Fimg.png)
문제설명 소스코드 import java.math.BigInteger;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tring tempA = sc.next(); String tempB = sc.next(); BigInteger A = new BigInteger(tempA, 2); BigInteger B = new BigInteger(tempB, 2); BigInteger sum = A.add(B); System.out.println(sum.toString(2)); } } 설명 공식 문서를 확인해보면 BigInteger 클래스의 생..
![[Java] 백준 1015번 문제 (수열 정렬)](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yDxPZ%2Fbtsv7TKdLAT%2FeVkKQnHF2gpWaWDrjx3WV0%2Fimg.png)
문제설명 소스코드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int arr[][] = new int[2][N]; //2행 N열 배열 for(int i = 0; i < arr[0].length; ++i) { arr[0][i] = sc.nextInt(); //0행 입력받음 arr[1][i] = arr[0][i]; //1행의 값들은 0행의 값들과 같게함 } Arrays.sort(arr[1]); //1행의 값들을 정렬시킴 for(int i = 0; i ..
![[Java] 백준 1417번 문제 (국회의원 선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mc0tC%2FbtswgWeqofF%2FuKH9SvrTdKppgNGwXQROhK%2Fimg.png)
문제설명 소스코드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int me = sc.nextInt(); //나 == 다솜 Integer arr[] = new Integer[N-1]; //내림차순 정렬을 위해 박싱 int count = 0; //매수해야 하는 사람 수 for(int i = 0; i < arr.length; ++i) arr[i] = sc.nextInt(); while(true) { ..
![[Java] 백준 1026번 문제 (보물)](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hb53u%2Fbtsu8kHDUu2%2Fj3jPsFpfmr3pBVFVUhH2ak%2Fimg.png)
문제설명 소스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 = new int[n]; Integer B[] = new I..
![[DB 이론] 데이터베이스 기본 개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UFGW2%2FbtsugiwTD8r%2Fa62J8q8RRfWyakcj3AhoC1%2Fimg.png)
이 글은 데이터베이스 개론 (저자 김연희)의 내용을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 : 현실 세계에서 단순히 관찰하거나 측정하여 수집한 시실이나 값으로, 자료라고도 한다. 정보 : 데이터를 의사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체계적으로 조직한 결과물이다. 데이터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또는 방법을 정보 처리라 한다. 즉, 정보 처리는 데이터를 상황에 맞게 분석하거나 해석하여 데이터 간의 의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현재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는 가치 있는 정보를 얻으려면 현재 상황을 정확히 관찰하고 측정하여 의미 있는 데이터를 많이 수집해야 한다. 하지만 데이터를 많이 수집하는 데 그쳐서는 안된다. 수집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했다가 필요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