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String 클래스](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7jmel%2FbtrWgijgbLh%2FaAQhORl0dK4sWNrmebDAm0%2Fimg.jpg)
본 게시글은 이것이 자바다 (저자 : 신용권)의 책과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였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문자열 클래스자바에서 문자열과 관련된 주요 클래스는 아래와 같다. String 생성자소스상에서 문자열 리터럴은 String 객체로 자동 생성되지만, String 클래스의 다양한 생성자를 이용해서 직접 String 객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어떤 생성자를 이용해서 String 객체를 생성할지는 제공되는 매개값의 타입에 달려있다.아래는 사용 빈도수가 높은 생성자들이다. 파일의 내용을 읽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받은 데이터는 보통 byte [] 배열이므로 이것을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된다.//배열 전체를 String 객체로 생성String str = new String(byte[] bytes..

본 게시글은 유튜브 : 경제 TV 너무경 : 너무 쉬운 경제 윤성종 님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금융용어정리 - 무상증자 무상증자 주식을 발행하여, 주주에게 대가를 받지 않고 주식을 줌으로써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말한다. 무상증자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잉여금이 자본금으로 바뀌게 되어서 잉여금은 감소하고, 자본금은 증가한다. 자본은 불변 외부에서 자본잠식을 걱정할 필요 없이 잉여금이 충분히 있다고 인식하게 된다. 시가총액은 변함이 없다.(주가를 떨어트리기 때문에) 주식수가 많아지고 주가는 내려가서 유동성이 커지게 된다. 주식시장에서 호재로 작용한다.(2,4번 때문에) 1번, 2번 설명 예를 들어, 자본 5천만원(자본금 1천만원 + 잉여금 4천만원)이 있..
![[JAVA] n개의 데이터 최댓값 구하기(난수 사용)](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qsTpy%2FbtrWc3fOe0w%2FzF7uVs1rIBPj7Sp0NC6k61%2Fimg.png)
Do it!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자바편] 연습문제와 실습문제입니다. 배열, 난수 사용, 최댓값 구하기 n명의 사람 수를 받아오고, 랜덤으로 사람키를 지정해서 최댓값 출력 import java.util.Random;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static int maxOf(int[] a) { int max = a[0]; for (int i = 1; i max) max = a[i]; return ma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Random rand = new Random(); Scanner stdIn = new Scanner(Syste..
![[JAVA] System, Class 클래스](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tMJ7C%2FbtrWdeO2k7A%2FJBWkXRZYJUBVvAlQaz4K4k%2Fimg.jpg)
본 게시글은 혼자 공부하는 자바 (저자 : 신용권)의 책과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였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System 클래스 자바 프로그램은 JVM위에서 실행된다. java.lang 패키지에 속하는 System 클래스의 정적 필드와 메소드를 이용하면 프로그램 종료, 키보드 입력, 콘솔(모니터) 출력, 현재 시간 읽기, 시스템 프로퍼티 읽기 등이 가능하다. System 클래스의 모든 필드와 메소드는 정적 필드와 정적 메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정적 멤버 용도 필드 out 콘솔에 문자 출력 err 콘솔에 에러 내용 출력(빨간 글자색) in 키보드 입력 메소드 exit(int status) 프로세스 종료(JVM 종료) currentTimeMillis() 현재 시간을 밀리초 단위의 long 값으..

본 게시글은 유튜브 : 경제 TV 너무경 : 너무 쉬운 경제 윤성종 님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금융용어정리 - 유상감자 유상감자 무상감자와 달리 유상감자는 주주에게 보상을 하고 자본금을 줄이는 행위이다. 유상감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자본의 효율성을 높인다. 주식수는 감소하나 지분비율은 변하지 않음 주식수가 감소한다. 주주에게 자본금과 이익을 돌려준다. 주식시장에서 호재로 작용(돈 많은 기업이 효율성을 높임) 자본의 효율성을 높인다 자본의 효율성이 높다는 뜻은 재테크로 예를 들면 A씨와 B씨는 재테크로 연 10억을 번다. 하지만 A씨는 100억을 가지고 이익을 내지만, B씨는 1000억을 가지고 이익을 낸다. 같은 10억을 벌지만 그 10억을 벌기 ..
![[JAVA] 다중루프(중첩 for문) - 곱셈표, 도형, 피라미드](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3UkdU%2FbtrV46xTtU8%2FQqeUXYMjIUUgz1deSkk81K%2Fimg.png)
Do it!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자바편] 연습문제와 실습문제입니다. 곱셈표 일반 곱셈표 public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int i = 1; i1) {System.out.printf("%3d", (i-1)+(j-1));} } System.out.println(); } } } /* | 1 2 3 4 5 6 7 8 9 ---+--------------------------- 1| 2 3 4 5 6 7 8 9 10 2| 3 4 5 6 7 8 9 10 11 3| 4 5 6 7 8 9 10 11 12 4| 5 6 7 8 9 10 11 12 13 5| 6 7 8 9 10 11 12 13 14 6| 7 8 9 10 11..
![[JAVA] 두 자리 양의 정수만 입력받기, 드모르간 법칙](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pDWKq%2FbtrV6dv3dIk%2FP2F9PXvCdxzfAP4xhlrdu0%2Fimg.png)
Do it!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자바편] 연습문제와 실습문제입니다. 두 자리 양의 정수만 입력받기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e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c2; System.out.println("두 자리 정수를 입력하세요"); do { System.out.print("입력 : "); nc2 = sc.nextInt(); } while(nc2100); System.out.println("두 자리 정수를 입력하셨습니다."); } } /* 두 자리 정수를 입력하세요 입력 : 5 입력 : 101 입력 : 556 입력 : 5..

본 게시글은 유튜브 : 경제 TV 너무경 : 너무 쉬운 경제 윤성종 님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금융용어정리 - 무상감자 무상감자 증자의 반대 개념이 감자이다. 증자는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자본금을 늘리는 행위인데, 감자는 주식을 없애서 자본금을 줄이는 행위이다. 감자 앞에 무상이라는 단어가 붙었는데, 무상은 주주에게 보상이 없다는 뜻이다. 즉, 주주에게 보상없이 자본금을 줄인다는 뜻이다. 무상감자는 결손금을 메꾸려고 하는 것이고, 자본잠식 상태에서 멀어지려고 하는 행위이다. 예를 들어 자본금 1000만원으로 사업을 시작했다고 하자(액면가 1000원 X 10000주 발행) 사업을 시작하고 흑자(이익잉여금)를 내지 못하고 적자(결손금)가 500만 원 발생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