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백준 1212번 문제 (8진수 2진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yRZ4m%2FbtsAPxvNMnj%2FGyUfgkRj94wdHTXoQTj291%2Fimg.png)
문제설명 소스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ring input = br.readLine(); String[] arr = {"000","001","010","011","100","101","110","111"}; for(int i = 0; i < input.length(); ..
![[JSP] 세션(Session)](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3Rjtr%2FbtsAM0YMAz3%2FhZsuj3830RlWKY3yBj7Hx0%2Fimg.png)
세션 네트워크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의미 세션은 서버 공간에 생성되므로 보안 유지에 유리하지만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한계성에 대한 문제는 존재함 세션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접속된 웹 서버와 가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 줌 세션에 의한 클라이언트 구분 세션은 웹 서버 공간에 생성되는 객체로 웹 브라우저마다 하나씩 존재 웹 서버와의 접속을 통해 생성된 세션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사용자 중 특정인에 대한 구분자의 역할을 수행 세션을 통해 접속된 웹 브라우저를 닫기 전까지는 웹페이지를 이동하더라도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웹 서버에 객체 상태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정보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됨 세션과 쿠키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
![[JSP] 쿠키(Cookie)](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w5KAf%2FbtsAQf1icJR%2F5hYO9lQ2WJswMrHaKurcD1%2Fimg.png)
쿠키 쿠키는 사이트에 접속할 때 생성되는 정보를 담은 4KB 이하 크기의 임시 파일을 의미 네트워크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 세션과 다른 점은 로그인 상태 정보를 사용자 컴퓨터인 클라이언트에 저장된다는 부분(세션은 웹 서버에 저장) 쿠키는 불순한 의도로 복사되거나 해킹 등에 의해 개인 정보가 탈취될 수 있다는 보안상 취약한 단점 존재 쿠키에 의한 웹 브라우저 구분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저장하기 때문에 이후 웹 서버로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쿠키를 읽어 새로운 웹 브라우저인지 아니면 이전에 요청했던 웹 브라우저인지를 구별함 쿠키가 생성되면 웹 브라우저는 쿠키가 삭제되기 전까지 쿠키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웹 서버에게 쿠키를 제공 쿠키와 세션 ..
![[JSP] 내장 객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xlI3o%2FbtsAMTrU3xA%2FE30nAgRurdlD5TDq9dzqC0%2Fimg.png)
내장 객체란 JSP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JSP 컨테이너에 미리 정의된 객체 JSP 페이지가 서블릿 프로그램으로 번역될 때 JSP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내장 객체를 멤버 변수, 메소드 매개변수 등의 각종 참조 변수(객체)로 포함 JSP 페이지에 별도의 import문 없이 자유롭게 사용 가능 스크립틀릿 태그나 표현문 태그에 선언을 하거나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도 직접 호출하여 사용 가능 내장 객체의 종류 내장 객체의 속성관리 JSP는 HTTP 프로토콜의 사용하는 웹 환경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HTTP는 비연결형으로 사용자가 서버에 특정 페이지를 요청하고 요청결과를 응답받으면 서버와의 연결이 끊기는 형태 예를 들어 게시판에 글을 작성하는 페이지에서 작성한 내용은 다른 jsp에서 처리해야 하고 서버는 방금..
![[JSP] 스크립트 태그(Script Tag)](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xe5rA%2FbtsANJWHXVf%2FOwUllRZIiwQYFKBqXtCh9K%2Fimg.png)
스크립트 태그 종류 스크립트 태그는 JSP 웹 페이지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페이지의 정보를 설정하여 웹 컨테이너인 아파치 톰캣에게 보낼 때 선언한다. 스크립트 태그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디렉티브(지시문) 태그의 종류 디렉티브란 JSP 웹페이지에 대한 파일의 속성을 기술하는 지시문으로 JSP 컨테이너에 해당 웹페이지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 것인지를 전달하는 명령문을 의미한다. 디렉티브의 선언 위치는 일반적으로 JSP 웹페이지의 가장 상단에 선언한다. include 디렉티브 태그의 사용법 디렉티브 태그의 속성 종류
![[Oracle SQL] 집계 및 그룹 함수(COUNT(), SUM(), AVG(), MAX(), MIN(), GROUP BY, HAVING)](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67h0I%2FbtsAy9n5JKA%2F6sk6wJfbN4nh0tMsOvteqk%2Fimg.jpg)
집계 함수 여러 행에 대해 하나의 결과를 출력하는 그룹 함수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집계 연산을 수행 COUNT() 열의 행 개수를 구하는 함수 --salary 컬럼의 행의 개수를 모두 추출(null이 아닌거) SELECT COUNT(salary) FROM employees; --manager_id 컬럼의 행의 개수를 모두 추출(null이 아닌거) SELECT COUNT(manager_id) FROM employees; --commission_pct 행의 값의 개수를 모두 추출(null이 아닌거) SELECT COUNT(commission_pct) FROM employees; --모든 행의 개수를 추출 SELECT COUNT(*) FROM employees; SUM() / AVG() 열의 합계를 구하는 SU..
![[Oracle SQL] 숫자, 날짜, 변환, 일반 함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MaOaj%2FbtsAyWbJGNx%2FWgKxAxephUFyaT6DCDlCpk%2Fimg.jpg)
본 게시글은 이수안컴퓨터연구소의 데이터베이스 유튜브 동영상을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입니다. 숫자 함수 숫자 함수는 주로 숫자 계산과 추가 처리에 사용 CEIL() / FLOOR() • 숫자를 정수로 올림하는 CEIL() 함수, 숫자를 정수로 내림하는 FLOOR() 함수 SELECT salary, salary/21, CEIL(salary/21), FLOOR(salary/21) FROM employees; ROUND() / TRUNC() • 숫자를 반올림하는 ROUND() 함수, 숫자를 절삭하는 TRUNC() 함수 SELECT salary, salary/21, ROUND(salary/21), ROUND(salary/21, 2), ROUND(salary/21, -1), TRUNC(salary/21), TRUN..
![[Oracle SQL] 함수와 문자 함수(LOWER(), UPPER(), INITCAP(), SUBSTR(), REPLACE(), CONCAT(), LENGTH(), INSTR(), LPAD(), RPAD(), LTRIM(), RTRIM())](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FcBJn%2FbtsAzcEbiyB%2FYnqvUqxSDYXRiocH623O91%2Fimg.jpg)
본 게시글은 이수안컴퓨터연구소의 데이터베이스 유튜브 동영상을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입니다. 함수 함수 •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미리 만들어 놓고 필요할 때마다 사용하는개념 • DBMS에서는 주로 사용되는 문자, 숫자, 날짜 등의 다양한 기능과 데이터 타입을 변환하는 함수들을 제공 타입 데이터 타입 설명 문자 CHAR(n) n 크기의 고정 길이 문자 형식 저장 (최대 2,000 byte) 문자 VARCHAR2(n) n 크기의 가변 길이 문자 형식 저장 (최대 4,000 byte) 숫자 NUMBER(p, s) 숫자 형식 저장(p: 정수 자리수, s: 소수 자리수) 날짜 DATE 날짜 형식 저장 (9999년 12월 31일까지 저장 가능) 단일행 함수 • 데이터 값 계산 및 조작 • 행별로 하나의 결과를 반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