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컬렉션 프레임워크(LIFO & FIFO, 동기화된 컬렉션, 수정할 수 없는 컬렉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Rl90z%2FbtsoZnYx8qW%2Fg6WEsz0zhCGWENAYzyg7E0%2Fimg.jpg)
이 게시글은 이것이 자바다(저자 : 신용권, 임경균)의 책과 동영상 강의를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LIFO & FIFOLIFO는 스택(Stack) 자료구조를 뜻하고, FIFO는 큐(Queue) 자료구조를 뜻한다.컬렉션 프레임워크는 LIFO 자료구조를 제공하는 스택 클래스와 FIFO 자료구조를 제공하는 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StackStack 클래스는 LIFO 자료구조를 구현한 클래스이다.아래는 Stack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이다.Stack stack = new Stack();Stack stack = new Stack(); Stack 클래스는 Vector 클래스를 상속했다.따라서 Stack 객체는 동기화 처리가 되어있다. 즉, 멀티스레딩 환경에서 안전하게 처리 가능하다.r..
![[Java] 컬렉션 프레임워크(List, Set, Map)](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XqpOC%2FbtsoXyffLyM%2FBUBnyjg5fRHMByhPxgtkDk%2Fimg.jpg)
이 게시글은 이것이 자바다(저자 : 신용권, 임경균)의 책과 동영상 강의를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자바는 널리 알려져 있는 자료구조를 바탕으로 객체들을 효율적으로 추가, 삭제 검색할 수 있도록 관련된 인터페이스와 클래스들을 java.util 패키지에 포함시켜 놓았다.이들을 총칭해서 컬렉션 프레임워크라고 부른다.컬렉션 프레임워크는 몇 가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다양한 컬렉션 클래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주요 인터페이스로는 List, Set, Map이 있다. 컬렉션 프레임워크배열은 길이가 정해지면 바꿀 수 없었지만,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길이가 가변적이다.컬렉션 프레임워크는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메소드..
![[Java] 데몬 스레드와 스레드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R7hn9%2FbtsowPG0Su1%2FgWwi7fFAfrS0Wa0ihrvpCK%2Fimg.jpg)
이 게시글은 이것이 자바다(저자 : 신용권, 임경균)의 책과 동영상 강의를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데몬 스레드(Daemon Thread)데몬 스레드는 주 스레드의 작업을 돕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스레드이다.주 스레드가 종료되면 데몬 스레드도 따라서 자동으로 종료된다.스레드를 데몬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주 스레드가 데몬이 될 스레드의 setDaemon(true)를 호출하면 된다.주 스레드와 메인 스레드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메인 스레드에서, 다른 스레드를 데몬 스레드로 설정했다면 메인 스레드는 주 스레드가 된다.하지만 메인 스레드가 아닌 A 스레드에서, B 스레드를 데몬 스레드로 설정했다면 B 스레드 관점에서는 A 스레드가 주 스레드가 된다. 아래의 코드에서는 메인 ..
![[Java] 멀티 스레드](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Iig5X%2FbtsoqQGb9ld%2FQHhEYKYdkJB5fhnGRZQXO0%2Fimg.jpg)
이 게시글은 이것이 자바다(저자 : 신용권, 임경균)의 책과 동영상 강의를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2023.06.27 -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운영체제] - [운영체제] 스레드(Thread), 멀티 프로세스와 멀티 스레드 [운영체제] 스레드(Thread), 멀티 프로세스와 멀티 스레드이 글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저자 : 강민철)의 책과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스레드 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은 소프트웨어적 스레드이rebugs.tistory.com 하나의 프로세스가 두 가지 이상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이유는 멀티 스레드가 있기 때문이다.프로세스의 모든 스레드가 종료가 되어야 프로세스가 종료된다.하나의 스레드에서 예외가 ..
![[Java] 제네릭(Generic)](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YX8iv%2FbtsofOJecFd%2FFEvooDlXrVfJQA36qbWkq1%2Fimg.jpg)
이 게시글은 이것이 자바다(저자 : 신용권, 임경균)의 책과 동영상 강의를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제네릭의 개념제네릭이란 결정되지 않은 타입을 파라미터로 처리하고 실제 사용할 때 파라미터를 구체적인 타입으로 대체시기는 기능이다. 아래의 코드는 Box 클래스에서 결정되지 않은 content의 타입을 T라는 타입 파라미터로 정의한 것이다.public class Box { public T content;}는 T가 타입 파라미터임을 뜻하는 기호로, 타입이 필요한 자리에 T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Box 클래스는 T가 무엇인지 모르지만, Box 객체가 생성될 시점에 다른 타입으로 대체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Box의 내용물로 String 타입을 저장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Java] 랜덤 숫자(난수) 얻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mDaZ2%2Fbtsn9LEVNmG%2Fmd7JkgcyNXiApUuglVZuwk%2Fimg.jpg)
이 게시글은 이것이 자바다(저자 : 신용권, 임경균)의 책과 동영상 강의를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math 클래스의 random() 메소드 이용0.0과 1.0 사이(0.0 포함, 1.0 미포함) 범위에 속하는 하나의 double 타입의 값을 리턴double v11 = Math.random(); //0.47464615326686044 1부터 n까지 랜덤 수를 뽑는 코드는 아래와 같다. int num = (int) (Math.random()*n) + 1; 아래의 예제는 1~45의 랜덤 숫자 중 6개 뽑는 예제이다.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int i = 0; i java.util.random..
![[Java] StringBuilder 클래스, StringTokenizer 클래스](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3w0Pq%2FbtsnYYy2nvW%2F0yY6U32kbASot6b2fer0u1%2Fimg.jpg)
이 게시글은 이것이 자바다(저자 : 신용권, 임경균)의 책과 동영상 강의를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String은 내부 문자열을 수정할 수 없다. 아래의 코드를 보면 다른 문자열을 결합해서 내부 문자열을 변경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ABCDEF'라는 새로운 String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data 변수는 새로 생성된 String 객체를 참조하게 된다.String data = "ABC";data += "DEF";문자열의 + 연산은 새로운 String 객체가 생성되고 이전 객체는 계속 버려지는 것이기에 효율이 좋지 못하다.잦은 문자열 변경 작업을 해야 한다면 String 보다는 StringBuilde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StringBuilder 클래스StringBu..
![[Java] 레코드, 롬복(lombok)](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79UE%2FbtsnWFT0sL4%2FFOykNvEljY8vyM48OzLYP1%2Fimg.jpg)
이 게시글은 이것이 자바다(저자 : 신용권, 임경균)의 책과 동영상 강의를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레코드(record)데이터 전달을 위한 DTO(Data Transfer Object)를 작성할 때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코드를 줄이기 위함Java 14부터 레코드가 도입되었다.필드는 읽기만 가능하도록 private final로 선언됨필드가 읽기만 가능하므로 setter가 없고, getter 이름이 단순히 필드 이름이다.동등 비교를 위해 hashCode()와 equals() 메소드가 재정의 되어있다.toString()메소드가 재정의 된다. public record Member(String id, String name, int age) {}이렇게 단순하게 클래스명 앞에 recode 만 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