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예외처리](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tCO2m%2FbtsDitx0loE%2F1aKZikGkagjpfj7IRJQ851%2Fimg.png)
이 글은 혼자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저자 : 윤인성)의 책 내용과 유튜브 동영상을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try - catch - finally 문 try{ //예외 발생 가능성이 있는 코드 } catch(exception){ //예외처리를 할 코드 } finally{ //무조건적으로 실행될 코드 } finally 구문은 catch 구문에서 return, break, continue 등을 만나더라도 실행된다. 또한 파일 입출력등에서 파일을 사용 도중에 오류를 만나면 리소스를 자동으로 닫는 상황에서도 사용된다. 예외 객체 예외 객체 속성 속성이름 설명 name 예외 이름 message 예외 메시지 예외 강제 발생 상황에 따라서 예외를 강제로 발생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다. 자바스크립트는..
![[JavaScript] 문서 객체 모델(DOM:Document Object Mode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Hiex0%2FbtsDjX6FEEN%2F5NzCKyNXZgTjrJImIuSRk0%2Fimg.png)
이 글은 혼자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저자 : 윤인성)의 책 내용과 유튜브 동영상을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문서 객체 조작 DOMContentLoaded DOMContentLoaded는 웹 페이지의 모든 HTML 요소가 브라우저에 의해 로드되고 파싱되었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이다. 이는 이미지, 스타일시트 등의 외부 자원을 기다리지 않고, HTML 요소들 자체가 다 로드되었을 때 발생한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JavaScript에서 이를 감지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거나 초기화 작업을 할 수 있다. 페이지의 모든 구성 요소가 준비된 상태에서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타이밍을 제공하여,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만들거나 웹 애플리케이션을 초기화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문서 ..
![[JavaScript] 객체(Object)](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HFRof%2FbtsDhzYITiW%2FtOZWlkbBIzTeF4QknGCMJ0%2Fimg.png)
이 글은 혼자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저자 : 윤인성)의 책 내용과 유튜브 동영상을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객체의 기본 객체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는 속성(key-value 쌍)을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이다. 객체는 중괄호 {}를 사용하여 만들며, 각 속성은 콜론(:)을 사용하여 키와 값으로 구성된다. // 빈 객체 생성 let person = {}; // 객체에 속성 추가 person.name = "John"; person.age = 30; person.gender = "male"; // 또는 객체 생성과 동시에 속성 정의 let car = { brand: "Toyota", model: "Corolla", year: 2020 }; // 객체의 속성에 접근 console.log(perso..
![[Java] Arrays.sort(), Collections.sort() Comparator, Comparable](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pg59s%2FbtsDqjHJmgE%2FrKPnFNC7DY7yIu26pcKEoK%2Fimg.jpg)
Arrays.sort()와 Collections.sort() Arrays.sort()와 Collections.sort()는 Java에서 배열과 컬렉션을 정렬하는 메서드이다. Arrays.sort() Arrays 클래스에 속한 정적 메서드로, 배열을 정렬할 때 사용한다. 주로 기본 타입 배열(int, double)을 정렬하는 데 사용된다. 정렬 알고리즘으로는 기본적으로 퀵 소트(QuickSort)가 사용되지만, Java 7 이후로는 퀵 소트와 병합 소트(MergeSort)가 혼합된 팀소트(TimSort)가 사용된다. Arrays.sort()는 인자로 넘겨받은 배열을 직접 수정하며, 반환값은 void이다. int[] arr = {5, 2, 9, 1, 5}; Arrays.sort(arr); Collection..
![[JavaScript] 함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RV2MB%2FbtsDdES7ZqL%2F7YER4o1TSNZSsvaPKSVhP0%2Fimg.png)
이 글은 혼자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저자 : 윤인성)의 책 내용과 유튜브 동영상을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익명 함수 함수에 이름이 없어서 익명함수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함수를 선언할 때 함수명을 지정하지만, 익명 함수는 그렇지 않다. 보통 변수에 할당되거나 다른 함수 내에서 사용되어 일회성으로 실행할 때 유용하게 활용된다. let 익명함수 = function() { console.log("이 함수는 익명 함수입니다."); }; 익명함수() // 익명함수 호출하려면 변수명을 사용 프로시저 함수 프로시저 함수란 특정한 결과를 반환하지 않고 단순히 작업을 수행하는 함수를 가리킨다. 선언적 함수 선언적 함수는 일반적인 함수 선언 방식으로 정의된 함수를 가리킨다. 함수를 선언할 때 사용되는 ..
![[JavaScript] 반복문](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vdRJP%2FbtsDfpH6Zvq%2FfWCDSTWkoXnR6mcs3U9g41%2Fimg.png)
이 글은 혼자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저자 : 윤인성)의 책 내용과 유튜브 동영상을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for in 반복문 배열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반복문은 for in 반복문이다. for in 반복문은 배열 요소의 인덱스를 이용해 특정 문장을 실행할 때 사용한다. for of 반복문 for of 반복문은 배열의 요소 자체를 이용해 특정 문장을 실행할 때 사용한다. for 반복문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for문과 똑같다. while, continue, break문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똑같으므로 생략
![[JavaScript] 배열(Array)](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wFlYC%2FbtsC9B3Prn6%2FqMqCThZkm0l9BC0nq4YpU1%2Fimg.png)
이 글은 혼자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저자 : 윤인성)의 책 내용과 유튜브 동영상을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배열 만들기 배열명 = [요소, 요소, 요소.....] 배열 요소에 접근 배열명[인덱스] 배열 요소 추가 Array.push(요소) : 맨 뒤에 요소 추가 Array.unshift(요소) : 맨 앞에 요소 추가 Array.splice(인덱스, 0, 요소) : 원하는 인덱스에 요소 추가 두 번째 파라미터에 0이 아니라 1이 들어가면 요소 삭제다. 배열 요소 삭제 Array.pop() : 맨 뒤의 요소 삭제 Array.shift() : 맨 앞의 요소 삭제 Array.splice(인덱스, n) : 원하는 인덱스 포함 n개의 요소를 제거 원하는 요소의 인덱스 찾기 indexof(요소) ..
![[JavaScript] 자료형, 상수와 변수, 자료형 변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IRJa%2FbtsDdDlzNBg%2FilmCAtK01kKMAD0N4NJps0%2Fimg.png)
이 글은 혼자공부하는 자바스크립트(저자 : 윤인성)의 책 내용과 유튜브 동영상을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기본 자료형 자바스크립트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많이 사용하는 자료형은 아래와 같다. 숫자(number) 문자열(string) 불(bool)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을 만들 때는 큰 따옴표를 이용해서 만들 수도 있고, 작은 따옴표를 사용해서 만들 수도 있다. 문자열 연산자 문자열 사이에 덧셈 기호를 사용하면 문자열을 연결할 수 있다. 문자열 내부의 문자 하나를 선택할 때는 문자 선택 연산자를 사용한다. 문자열의 길이도 구할 수 있다. 숫자 자료형 자바스크립트는 소수점이 있는 숫자와 없는 숫자를 모두 같은 자료형으로 인식한다. 숫자를 입력하면 숫자 자료가 만들어진다. 숫자 연산자 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