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sticSearch] 역인덱스(Inverted Index)](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F6XNe%2FbtsOlUQVgJu%2FAAAAAAAAAAAAAAAAAAAAAGq5w3E6zrRnOT5ZRHuQhrH6crA_evhELRMCJ-oA83cY%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ikwkKcJnOqSkCnt0%252F%252B%252BXe3x%252BFCs%253D)
이 글은 인프런의 지식 공유자 박재성님의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유연한 검색 기능RDBMS의 검색 한계MySQL의 products 테이블의 name 컬럼에 맥북 에어 13 M4라고 저장해놓고, 특정 키워드로 데이터를 검색하려면 아래와 같이 SQL문을 작성해야한다. SELECT * FROM products WHERE name = “%맥북 에어 13%”; 만약 MySQL에서 맥북 13 에어라고 검색하면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는다. SELECT * FROM products WHERE name = “%맥북 13 에어%”; 하지만 실제로 우리가 쿠팡 등에서 물건을 검색할 때 단어의 순서를 정확하게 기억하고 검색하진 않는다. 위 제품을 쿠팡에 검색해서 구매하고 싶다고 할 때, 우린 쿠팡에 ..
![[ElasticSearch] 인덱스, 도큐먼트, 매핑, 필드](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oTohm%2FbtsOkSSVIc1%2FAAAAAAAAAAAAAAAAAAAAAAyV0dFpIFcHFmbbbbiRrVA4VmvQkuYouuK5yMUg1xcW%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h%252BaOeY%252FwbECQE6bvtZZbwOHfUP8%253D)
이 글은 인프런의 지식 공유자 박재성님의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Elasticsearch의 기본 용어 정리MySQL과 Elasticsearch를 비교하면서 학습하면 Elasticsearch를 훨씬 빠르게 배울 수 있다. MySQLMySQL은 데이터베이스이다.데이터를 저장/조회/수정/삭제할 수 있다.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가장 먼저 테이블(table)을 만든다.테이블을 만들 때 어떤 유형의 데이터를 넣을 지 스키마(schema)를 정의한다.테이블의 컬럼(column)에 맞게 데이터를 저장한다. ElasticsearchElasticsearch도 데이터베이스다.Elasticsearch에 데이터를 저장/조회/수정/삭제할 수 있다.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가장 먼저 인덱스(index)를..
![[ElasticSearch] 작동 방식 및 Kibana](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vZRiV%2FbtsOj2hzci3%2FAAAAAAAAAAAAAAAAAAAAAOBVEbOBQQ-04zlLnwzysFlhyzB9YM5PUfUK9mRwWqzM%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PF7CBNcTinvesyFHzl%252Bm01OJy9s%253D)
이 글은 인프런의 지식 공유자 박재성님의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ElasticSearch 작동 방식MySQL과 소통하려면 SQL문이라는 방식으로 통신해야 한다.이와 비슷하게 Elasticsearch와 소통하려면 REST API 방식으로 통신해야 한다.아래는 MySQL과 Elasticsearch의 명령어 차이를 보여준다. 데이터 삽입MySQLINSERT INTO users (name, email) VALUES ('Alice', 'alice@example.com'); ElasticSearchcurl -X POST "localhost:9200/users/_doc"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name": "Alice", "email"..
![[ElasticSearch] 기본 개념 및 설치 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dAOpX5%2FbtsOjb0fB7L%2FAAAAAAAAAAAAAAAAAAAAAGunLKoZx_1cMoY_E264UD4LXD1soSBRKF3ZCJ-H47XC%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HkCBKwd4ktnyHJnBODJ3XAtu88w%253D)
이 글은 인프런의 지식 공유자 박재성님의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ElasticSearch기본 개념ElasticSearch는 실시간 분산 검색 및 분석 엔진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저장하고 검색·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기본적으로 Apache Lucene 기반이며, JSON 기반의 RESTful API로 동작한다.Elasticsearch는 검색, 데이터 분석에 최적화된 데이터베이스이다.Elasticsearch는 검색을 잘하는 데이터베이스라고 보면 된다. 정확히 말하면,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거나 분석”하려고 만든 시스템이다.보통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보고 찾는” 구조인데, ElasticSearch는 “찾기 좋게 색인해놓고 나중에 빠르게 꺼내는” 구조이다.또한 데..
![[Spring Boot 핵심원리와 활용] 사용자 정의 메트릭](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rvNvJ%2FbtsNS3t6q4a%2FAAAAAAAAAAAAAAAAAAAAANaUNe4lrOg0TPtiwZ0neqm4bDaFkC_X_GKeTkqVdYeL%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PuztxsUS6uO%252F0h4DhdPsBvKIDSU%253D)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MeterRegistry마이크로미터 기능을 제공하는 핵심 컴포넌트스프링을 통해서 주입 받아서 사용하고, 이곳을 통해서 카운터, 게이지 등을 등록한다.MeterRegistry는 마이크로미터(Micrometer)에서 모든 메트릭(Counter, Gauge, Timer 등)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중심 객체이다.Spring Boot에서는 MeterRegistry를 빈(bean)으로 자동 주입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객체를 통해 커스텀 메트릭을 생성하거나 값을 기록할 수 있다. 카운터(Counter)Counter(카운터)단조롭게 증가하는 단일 누적 측정항목 (단일 값, 보통 하나씩 증가)누적이므로 전체 값을 포함(to..
![[Spring Boot 핵심원리와 활용] 마이크로미터, 프로메테우스, 그라파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rNG6e%2FbtsNSMMzAYK%2FAAAAAAAAAAAAAAAAAAAAAMRHZa9gFbY9a7XWVFQRiIDL1e51PjsOI39xNP5h_nKc%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EyILm9FoDJginuZTLmDhHvupGJA%253D)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마이크로미터세상에는 수 많은 모니터링 툴이 있고, 시스템의 다양한 정보를 이 모니터링 툴에 전달해서 사용하게 된다.모니터링 툴이 작동하려면 시스템의 다양한 지표들을 각각의 모니터링 툴에 맞도록 만들어서 보내주어야 한다.그런데 중간에 사용하는 모니터링 툴을 변경하면 기존에 측정했던 코드를 모두 변경한 툴에 맞도록 다시 변경해야 한다.개발자 입장에서는 단순히 툴 하나를 변경했을 뿐인데, 측정하는 코드까지 모두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로 마이크로미터(Micrometer)라는 라이브러리이다. 다양한 메트릭마이크로미터와 액츄에이터가 기본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메트릭은 아래와 같다.JVM ..
![[Spring Boot 핵심원리와 활용] 액츄에이터(Actuator)](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nbLis%2FbtsNSaApJzn%2FAAAAAAAAAAAAAAAAAAAAAOgyz0pveh-JXN4X42GNirKsyemh0X9B0hF7acX_R2tw%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EP2BT%252FDCu%252BaSLayo0crymUeD1%252F4%253D)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액츄에이터를 사용하려면 스프링부트 의존성에 다음과 같이 추가해야한다.build.gradle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 actuator' // actuator 추가} 의존성을 추가하고 /actuator 경로로 접근하면 액츄에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http://localhost:8080/actuator 액츄에이터의 모든 기능을 웹에 노출하려면 application.yml에 아래와 같이 작성하면 된다.application.ymlmanagement: endpoints: web: exposur..
![[Spring Boot 핵심 원리와 활용] 외부 설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pyMD5%2FbtsNJH6QG2Z%2FAAAAAAAAAAAAAAAAAAAAAAiQtjrZ24_panvtW9Vyca-wcmz38c3Dj6JzPrXdMRPJ%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zIYvNPWqLY3fsD9aI%252BQ50TyoI%252Fg%253D)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외부 설정이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필요한 설정값을 외부에서 불러와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외부 설정은 일반적으로 다음 4가지 방법이 있다.OS 환경 변수: OS에서 지원하는 외부 설정, 해당 OS를 사용하는 모든 프로세스에서 사용자바 시스템 속성: 자바에서 지원하는 외부 설정, 해당 JVM안에서 사용자바 커맨드 라인 인수: 커맨드 라인에서 전달하는 외부 설정, 실행시 main(args) 메서드에서 사용외부 파일(설정 데이터): 프로그램에서 외부 파일을 직접 읽어서 사용 스프링 통합커맨드 라인 옵션 인수, 자바 시스템 속성, OS 환경변수는 모두 외부 설정을 key=value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