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DB] 트랜잭션 템플릿](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19TGx%2FbtsFiuHyXZD%2FAAAAAAAAAAAAAAAAAAAAAJYmf3U8593xI5tu4rOu5z0G0fnlEmFuEX3s6zebvmO1%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APEGGkUQ347kq5LoxXueoOfmXX8%253D)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트랜잭션 템플릿(Transaction Template)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방식(명시적)의 트랜잭션 관리 방법 중 하나이다. TransactionTemplate 클래스를 사용하면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Transactional)와 달리, 코드 내에서 직접 트랜잭션의 시작, 커밋, 롤백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방식은 트랜잭션 관리를 더 세밀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는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TransactionTemplate 트랜잭션 템플릿을 적용하려면 템플릿을 제공하는 클래스를 작성해야 하는데, 스프링은 TransactionTemplate 라는 템플릿 클래스를 제공한다...
![[Spring DB] 트랜잭션 매니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LcRBd%2FbtsFm5frT1e%2FAAAAAAAAAAAAAAAAAAAAAFpRgouW2EVp632Pxz0RQKJ8-w9bjujk-6ZqpiYtih_F%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UayRg6CPPrvEs329cAiNdgZYR%252FM%253D)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프레젠테이션 계층, 서비스 계층, 데이터 접근 계층은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3계층 아키텍처의 핵심 요소이다. 이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조화하고 관리하기 위해 계층을 분리함으로써, 유지보수성, 확장성 및 재사용성을 향상시킨다. 프레젠테이션 계층 프레젠테이션 계층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부분이다. 이 계층은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고,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HTML, CSS, JavaScript 등을 사용하여 구현되며, 사용자의 요청을 서비스 계층으로 전달하고 결과를 사용자에게 돌려준다. 프레젠테이션 계층에서 서블릿과 HTTP 같..
![[Spring DB] 커넥션풀과 데이터 소스](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z2Kvc%2FbtsE9OsZnL9%2FAAAAAAAAAAAAAAAAAAAAAN5TcHlGGoblloyT8wZlqgJIL2bcMHq55a9Bcn-qivrP%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ZCOyLQZHdlatNEfpZrQCsAHPhyE%253D)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커넥션 풀 개념 커넥션 풀(Connection Pool)은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일련의 데이터베이스 연결 집합이다.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여러 사용자나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빠르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커넥션 풀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연결 생성과 해제에 드는 비용이 높기 때문이다. 데이터베이스에 연결을 요청할 때, 커넥션 풀에서 미리 생성해 둔 연결 중 하나를 할당받는다. 사용이 끝난 연결은 다시 커넥션 풀로 반환되어, 다음 요청이 있을 때 재사용된다. 이 방식은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매번 새로 생성하고 해제하는 것보다 훨씬 효..
![[Spring MVC] PRG(Post/Redirect/Get), RedirectAttributes](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y5kfo%2FbtsE8QDFLUl%2FAAAAAAAAAAAAAAAAAAAAAFzj0Myb0QV_c6_UU-EcNLFZ9DQEh_rwA3HxTuBu1v3p%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252BinpAoxFNmJSk70IZdsr9MbOSrA%253D)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POST, Redirect GET 예를 들어, 상품 등록 폼에서 상품을 저장하고, 상품 상세 페이지로 간다고 가정하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된다. @GetMapping("/add") //get public String addForm() { return "basic/addForm"; } @PostMapping("/add") //post public String addItem(@ModelAttribute Item item) { itemRepository.save(item); return "basic/item"; } 상품 등록 폼으로 갈때는 GET 요청으로 가고, 상품 저장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POST 요청을 해야한..
![[Spring] 어노테이션 정리](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cxsunt%2FbtsE2Dr43zB%2FAAAAAAAAAAAAAAAAAAAAADu8GvilcVTOHlwNbSuj9oHgD29a5jqIv78fOEULm8x2%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OiTsUYq4IPLRB1JcqNn%252FLQdwXu0%253D)
@Component클래스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기 위한 일반적인 스테레오타입 어노테이션. 스프링이 관리하는 컴포넌트임을 나타낸다. @Component 어노테이션은 @Repository, @Service, @Controller와 같은 더 구체적인 스테레오타입 어노테이션의 기반으로 작용한다.이들은 각각 데이터 접근 계층, 비즈니스 로직 계층, 프레젠테이션 계층의 클래스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Component의 특수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이 구체적인 어노테이션들을 사용함으로써,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부분을 더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고, 스프링은 특정 역할을 가진 컴포넌트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ComponentScan스프링이 @Component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를 찾아 빈으로 등록..
![[Spring MVC] 기본 기능 - HTTP 응답](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x6oSB%2FbtsE2BNEaEW%2FAAAAAAAAAAAAAAAAAAAAAMZYXl0oKYOhq395UvoeZBJX0zBnfyIQ9Tib0HTGQo_u%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1aUB7tME%252FD50Y5J0blJ9joYgBt8%253D)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스프링(서버)에서 응답 데이터를 만드는 방법은 크게 3가지이다. 정적 리소스 -예) 웹 브라우저에 정적인 HTML, css, js를 제공할 때는, 정적 리소스를 사용한다. 뷰 템플릿 사용 -예) 웹 브라우저에 동적인 HTML을 제공할 때는 뷰 템플릿을 사용한다. HTTP 메시지 사용 -HTTP API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HTML이 아니라 데이터를 전달해야 하므로, HTTP 메시지 바디에 JSON 같은 형식으로 데이터를 실어 보낸다. 정적 리소스 스프링 부트는 클래스패스의 다음 디렉토리에 있는 정적 리소스를 제공한다. /static , /public , /resources , /META-INF/resources ..
![[Spring MVC] 기본 기능 - HTTP 요청, 요청 파라미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dvGMgo%2FbtsE6HGvFuD%2FAAAAAAAAAAAAAAAAAAAAAKEhdBtEp5qrK_YkusUDVrdefmbegDvjWTFrkeVY-9uz%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h6c9zYqV%252B7WSVxW8GqjPq3JmEoM%253D)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HTTP 요청 어노테이션 기반의 스프링 컨트롤러는 다양한 파라미터를 지원한다. @Slf4j @RestController public class RequestHeaderController { @RequestMapping("/headers") public String headers(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HttpMethod httpMethod, Locale locale, @RequestHeader MultiValueMap headerMap, @RequestHeader("host") String host, @CookieValue(valu..
![[Spring MVC] 기본 기능 - 요청 매핑](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Dd3Pt%2FbtsE0ha1tSb%2FAAAAAAAAAAAAAAAAAAAAABVJrjwWrV6BwjB7wvnwTseMwhVwuF3M_r-vAgDxQMll%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jfv3DWdXne4a6u%252B75FPZDjntenA%253D)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RestController 특정 클래스를 RESTful 웹 서비스의 컨트롤러로 지정한다. 이 어노테이션을 사용한 클래스는 HTTP 요청을 처리하는 핸들러 메소드를 포함하며, 각 메소드는 특정 HTTP 요청(예: GET, POST, DELETE 등)에 매핑된다. @RestController는 @Controller 와 유사하지만, 차이점은 @RestController 로 지정된 컨트롤러의 메소드가 기본적으로 HTTP 응답 본문(Body)에 직접 데이터를 작성한다는 점이다.이는@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모든 핸들러 메소드에 적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Controller 는 반환 값이 St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