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쿠버네티스 설치(Mac)](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tzCVm%2FbtsNMzf35aI%2FSv2AjitLxrkb301u90ZVl0%2Fimg.png)
[Kubernetes] 쿠버네티스 설치(Mac)DevOps/Kubernetes2025. 5. 8. 00:58
Table of Contents
이 글은 인프런의 지식 공유자 박재성님의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Kubernetes)는 다수의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배포, 확장 및 관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시스템이다.
쿠버네티스(Kubernetes)는 Docker Compose와 비슷한 느낌을 가지고 있다. Docker Compose도 다수의 컨테이너를 쉽게 관리하기 위해 활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커 컴포즈로 수백, 수천 개의 컨테이너를 관리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쿠버네티스는 가능하다.
- Docker Compose: 로컬 개발 환경 또는 소규모 서비스 구성에 적합하며, 오케스트레이션 기능은 제한적이다.
- Kubernetes: 프로덕션 환경에서 수천 개의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의 장점
- 컨테이너 관리 자동화 (배포, 확장, 업데이트)
- 부하 분산 (로드 밸런싱)
- 쉬운 스케일링
- 셀프 힐링
쿠버네티스 설치
애플 실리콘을 사용하는 MAC 기준
도커 데스크톱 설치
홈 브루를 통해서 도커 데스크톱을 설치한다.
brew install --cask docker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버전 출력을 통해서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docker --version
kubectl 설치
홈 브루를 통해 kubectl을 설치한다.
brew install kubectl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버전 출력을 통해서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kubectl version --client
로컬에 Kubernetes 클러스터가 없다면 먼저 Kubernetes 클러스터를 실행해야 한다.
Docker Desktop을 설치했다면 아래 옵션을 통해 Kubernetes를 활성화할 수 있다.
- Docker Desktop > Settings > Kubernetes > “Enable Kubernetes” 체크
이후 아래 화면에서 install 버튼을 눌러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설치한다.
'DevOps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핵심 명령어 정리 (1) | 2025.05.13 |
---|---|
[Kubernetes] 볼륨(Volume) (0) | 2025.05.12 |
[Kubernetes] 환경변수 관리(ConfigMap, Secret) (0) | 2025.05.11 |
[Kubernetes] Deployment와 Service (0) | 2025.05.10 |
[Kubernetes] 파드(Pod) (0)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