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핵심원리 - 고급] 템플릿 메서드 패턴(디자인 패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k4XcL%2FbtsNfR1IGrL%2FKfW3KqAZFF2vtgtO95Dk20%2Fimg.png)
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Spring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정리를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템플릿 메서드 패턴
- 템플릿 메서드 패턴(Template Method Pattern)은 상위 클래스에서 알고리즘의 뼈대를 정의하고, 일부 세부 처리는 하위 클래스에 위임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 즉, 공통된 로직의 흐름(템플릿)은 상위 클래스에서 고정하고, 변하는 부분만 하위 클래스에서 구현하게 만드는 방식이다.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리
좋은 설계는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리하는 것이다. 이 둘을 분리해서 모듈화해야 한다.
템플릿 메서드 패턴(Template Method Pattern)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상위 클래스(추상 클래스)
- 전체 흐름을 정의하는 템플릿 메서드 보유
- 공통 코드 + 추상 메서드 포함
하위 클래스(구현 클래스)
- 상위 클래스의 추상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해서 세부 알고리즘 제공
@Slf4j
public class TemplateMethodTest {
@Test
void templateMethodV0() {
logic1();
logic2();
}
private void logic1() {
long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비즈니스 로직 실행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비즈니스 로직 종료
long end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resultTime = endTime - startTime;
log.info("resultTime={}", resultTime);
}
private void logic2() {
long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비즈니스 로직 실행
log.info("비즈니스 로직2 실행");
//비즈니스 로직 종료
long end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resultTime = endTime - startTime;
log.info("resultTime={}", resultTime);
}
}
- 변하는 부분: 비즈니스 로직
- 변하지 않는 부분: 시간 측정
-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이름 그대로 템플릿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템플릿은 기준이 되는 거대한 틀이다.
- 템플릿이라는 틀에 변하지 않는 부분을 몰아둔다. 그리고 일부 변하는 부분을 별도로 호출해서 해결한다.
@Slf4j
public abstract class AbstractTemplate {
public void execute() {
long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비즈니스 로직 실행
call(); //상속
//비즈니스 로직 종료
long end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resultTime = endTime - startTime;
log.info("resultTime={}", resultTime);
}
protected abstract void call();
}
- 변하지 않는 부분인 시간 측정 로직을 몰아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이것이 하나의 템플릿이 된다.
- 그리고 템플릿 안에서 변하는 부분은 call() 메서드를 호출해서 처리한다.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부모 클래스에 변하지 않는 템플릿 코드를 둔다.
- 그리고 변하는 부분은 자식 클래스에 두고 상속과 오버라이딩을 사용해서 처리한다.
@Slf4j
public class SubClassLogic1 extends AbstractTemplate {
@Override
protected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
}
@Slf4j
public class SubClassLogic2 extends AbstractTemplate {
@Override
protected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2 실행");
}
}
@Test
void templateMethodV1() {
AbstractTemplate template1 = new SubClassLogic1();
template1.execute();
AbstractTemplate template2 = new SubClassLogic2();
template2.execute();
}
- template1.execute() 를 호출하면 템플릿 로직인 AbstractTemplate.execute() 를 실행한다.
- 여기서 중간에 call() 메서드를 호출하는데, 이 부분이 오버라이딩 되어있다. 따라서 현재 인스턴스인 SubClassLogic1 인
스턴스의 SubClassLogic1.call() 메서드가 호출된다. -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이렇게 다형성을 사용해서 변하는 부분과 변하지 않는 부분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익명 자식 객체 사용
-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SubClassLogic1 , SubClassLogic2 처럼 클래스를 계속 만들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 익명 자식 클래스를 사용하면 이런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 익명 자식 클래스를 사용하면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하면서 동시에 생성할 클래스를 상속 받은 자식 클래스를 정의할 수있다.
- 이 클래스는 SubClassLogic1 처럼 직접 지정하는 이름이 없고 클래스 내부에 선언되는 클래스여서 익명 내부 클래스라 한다.
@Test
void templateMethodV2() {
AbstractTemplate template1 = new AbstractTemplate() {
@Override
protected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
};
template1.execute();
AbstractTemplate template2 = new AbstractTemplate() {
@Override
protected void call() {
log.info("비즈니스 로직1 실행");
}
};
template2.execute();
}
템플릿 메서드의 단점
GOF 디자인 패턴에서는 템플릿 메서드 패턴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템플릿 메서드 디자인 패턴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작업에서 알고리즘의 골격을 정의하고 일부 단계를 하위 클래스로 연기합니다. 템플릿 메서드를 사용하면 하위
클래스가 알고리즘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알고리즘의 특정 단계를 재정의할 수 있습니다."
풀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부모 클래스에 알고리즘의 골격인 템플릿을 정의하고, 일부 변경되는 로직은 자식 클래스에 정의하는 것이다.
- 이렇게 하면 자식 클래스가 알고리즘의 전체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특정 부분만 재정의할 수 있다.
- 결국 상속과 오버라이딩을 통한 다형성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하지만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상속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속에서 오는 단점들을 그대로 안고간다.
특히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와 컴파일 시점에 강하게 결합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의존관계에 대한 문제이다. 자식 클래스 입장에서는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템플릿 메서드 패턴을 위해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를 상속 받고 있다.
상속을 받는다는 것은 특정 부모 클래스를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자식 클래스의 extends 다음에 바로 부모 클래스가 코드상에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사용하든 사용하지 않든 간에 부모 클래스를 강하게 의존하게 된다. 여기서 강하게 의존한다는 뜻은 자식 클래스의 코드에 부모 클래스의 코드가 명확하게 적혀 있다는 뜻이다.
UML에서 상속을 받으면 삼각형 화살표가 자식 -> 부모 를 향하고 있는 것은 이런 의존관계를 반영하는 것이다.
자식 클래스 입장에서는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데, 부모 클래스를 알아야한다. 이것은 좋은 설계가 아니다. 그리고 이런 잘못된 의존관계 때문에 부모 클래스를 수정하면, 자식 클래스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추가로 템플릿 메서드 패턴은 상속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클래스나 익명 내부 클래스를 만들어야 하는 부분도 복잡하다.
템플릿 메서드 패턴과 비슷한 역할을 하면서 상속의 단점을 제거할 수 있는 디자인 패턴이 바로 전략 패턴(Strategy Pattern)이다.
'Back-End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핵심원리 - 고급] 프록시 및 데코레이터 패턴(디자인 패턴) (0) | 2025.04.11 |
---|---|
[Spring 핵심원리 - 고급] 전략 패턴(디자인 패턴) (1) | 2025.04.10 |
[Spring 핵심원리 - 고급] 쓰레드 로컬(Thread Local) (1) | 2025.04.09 |
[Spring] 스프링 컨테이너(IoC, DI 컨테이너) (0) | 2025.04.02 |
[Spring] Spring Boot + Swagger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