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SSD를 연결한 후, 디스크가 인식되었는지 확인한다.
lsblk
- sda: 477GB 디스크(내부 디스크)
- sda1: /boot/efi에 마운트된 1GB 파티션.
- sda2: 루트 파일 시스템(/)에 마운트된 476GB 파티션.
- sdb: 931GB 디스크 (외장 SSD)
- sdb1: 전체 디스크 크기를 사용하는 단일 파티션.
ext4로 포맷
현재 내 외장 ssd는 exFAT으로 포매팅되어있다. 아래의 명령어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sudo blkid /dev/sdb1
또한 마운트가 되어있다면 마운트를 해제해야 하지만, 마운트를 한적이 없기 때문에 그대로 포맷을 진행한다.
mkfs.ext4 명령어를 통해 포맷을 진행한다.
server-ssd는 디스크 라벨을 지정한 것이고, dev/sdb1는 현재 연결된 외장 SSD 파티션의 주소이다.
sudo mkfs.ext4 -L server-ssd /dev/sdb1
당연히 이 부분은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해야 한다.
포맷 완료 후, 아래의 명령어로 새로 설정된 파일 시스템을 확인한다.
sudo blkid
출력에서 /dev/sdb1의 TYPE이 ext4로 표시되면 정상적으로 포맷된 것이다.
새로 포맷된 SSD 마운트
아래의 명령어로 마운트할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sudo mkdir -p /mnt/server-ssd
server-ssd 부분은 사용자 마음대로 지정해도 된다.
이제 SSD를 아래의 명령어로 마운트한다.
sudo mount /dev/sdb1 /mnt/server-ssd
마운트가 잘 되었는지 아래의 명령어로 확인한다.
df -h
나의 경우 /dev/sdb1 에 마운트 되었다.
권한 설정
이 SSD를 현재 사용자로 소유권을 변경하고 싶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
sudo chown $USER:$USER /mnt/server-ssd
읽기 쓰기 권한을 확인하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
ls -ld /mnt/server-ssd
자동 마운트 설정
이전까지의 설정은 리눅스가 부팅될 때마다 수동으로 마운트해야한다.
자동 마운트 설정을 하면 부팅할 때마다 자동으로 마운트가 된다.
아래의 명령어로 SSD의 UUID를 찾는다.
sudo blkid
UUID를 복사해놓는다.
아래의 명령어로 해당 파일을 수정한다
sudo nano /etc/fstab
최하단에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준다.
UUID=d1856bd4-8be6-4945-a618-45f9849adf61 /mnt/server-ssd ext4 defaults,noatime 0 0
- UUID: /dev/sdb1의 UUID
- 마운트 위치: /mnt/server-ssd
- 마운트 옵션
- defaults: 기본 마운트 옵션 적용
- noatime: 파일 접근 시간 기록 비활성화 (SSD 수명 연장) - 마지막 두 숫자
- 0: 덤프(dump) 여부 비활성화(백업)
- 0: 부팅 시 파일 시스템 검사 비활성화
UUID와 마운트된 디렉토리는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꼭 확인하고 작성하자.
fstab 파일에 설정을 저장한 뒤, 새 설정을 즉시 적용한다.
sudo mount -a
이제 마운트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다시 확인한다.
df -h
추가적으로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TRIM 작업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sudo systemctl enable --now fstrim.timer
'서버 구축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Actions] Self-Hosted Runner (0) | 2025.01.09 |
---|---|
[Ubuntu] GeoIP 를 이용한 해외 IP SSH 접속 차단 (0) | 2025.01.02 |
[Nginx] Nginx 기본 보안 설정 (1) | 2024.12.28 |
[MySQL] MySQL 보안 설정 (1) | 2024.12.27 |
[Ubuntu] ssh 원격접속 보안 강화 (0) | 2024.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