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게시글은 이것이 자바다(저자 : 신용권, 임경균)의 책과 동영상 강의를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글임을 알립니다.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
자바는 널리 알려져 있는 자료구조를 바탕으로 객체들을 효율적으로 추가, 삭제 검색할 수 있도록 관련된 인터페이스와 클래스들을 java.util 패키지에 포함시켜 놓았다.
이들을 총칭해서 컬렉션 프레임워크라고 부른다.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몇 가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다양한 컬렉션 클래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주요 인터페이스로는 List, Set, Map이 있다.
컬렉션 프레임워크 배열은 길이가 정해지면 바꿀 수 없었지만,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길이가 가변적이다.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에 정의된 메소드들의 사용 방법만 익히면 어떤 구현 클래스가 오던지 사용 방법이 모두 똑같기 때문에 편리하다.
List와 Set은 객체를 추가, 삭제,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공통된 메소드만 따로 모아 Collection 인터페이스로 정의해 두고 이것을 상속하고 있다.
Map은 키와 값을 하나의 쌍으로 묶어서 관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List 및 Set과는 사용 방법이 다르다.
아래의 표는 각 인터페이스 별로 사용할 수 있는 컬렉션의 특징을 정리한 표이다.
List 컬렉션
List 컬렉션은 객체를 인덱스로 관리하기 때문에 객체를 저장하면 인덱스가 부여되고 인덱스로 객체를 검색,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List 컬렉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List 인터페이스 메소드는 아래와 같다.
기능
메소드
설명
객체 추가
boolean add(E e)
객체를 맨 끝에 추가
void add(int index, E element)
인덱스에 객체를 추가
set(int index, E element)
인덱스의 객체를 새로운 객체로 바꿈
객체 검색
boolean contains(Object o)
주어진 객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
E get(int index)
주어진 인덱스에 저장된 객체를 리턴
boolean isEmpty()
컬렉션이 비어 있는지 여부
int size()
저장되어 있는 전체 객체 수를 리턴
객체 삭제
void clear()
저장된 모든 객체를 삭제
E remove(int index)
주어진 인덱스에 저장된 객체를 삭제
boolean remove(Object o)
주어진 객체를 삭제
ArrayList
ArrayList는 List 컬렉션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컬렉션이다.
ArrayList에 객체를 추가하면 내부 배열에 객체가 저장된다.
일반 배열과 차이점은 제한 없이 객체를 추가할 수 있다는 점이다.
tip List 컬렉션은 객체 자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객체의 번지를 저장한다. 또한 동일한 객체를 중복 저장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동일한 번지가 저장된다. null 또한 저장이 가능하다.
ArrayList 컬렉션은 아래와 같이 생성할 수 있다.
List<E> list = new ArrayList<E>(); // E에 지정된 타입의 객체만 저장
List<E> list = new ArrayList<>(); // E에 지정된 타입의 객체만 저장
List list new ArrayList(); // Object 타입의 객체 저장(모든 타입)
타입 파라미터 E에는 ArrayList에 저장하고 싶은 객체 타입을 지정하면 된다.
객체 타입을 모두 생략하면 Object 타입 객체를 저장할 수 있다.
효율성 빈번한 객체 삭제와 삽입이 일어나면 해당 인덱스부터 끝까지 인덱스가 당겨지거나 밀려나게 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LinkedList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LinkedList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 컬렉션 객체 생성
List<String> list1 = new ArrayList<String>();
//LinkedList 컬렉션 객체 생성
List<String> list2 = new LinkedList<String>();
//시작 시간과 끝 시간을 저장할 변수 선언
long startTime;
long endTime;
//ArrayList 컬렉션에 저장하는 시간 측정
startTime = System.nanoTime();
for(int i=0; i<10000; i++) {
list1.add(0, String.valueOf(i));
}
endTime = System.nanoTime();
System.out.printf("%-17s %8d ns \n", "ArrayList 걸린 시간: ", (endTime-startTime) );
//LinkedList 컬렉션에 저장하는 시간 측정
startTime = System.nanoTime();
for(int i=0; i<10000; i++) {
list2.add(0, String.valueOf(i));
}
endTime = System.nanoTime();
System.out.printf("%-17s %8d ns \n", "LinkedList 걸린 시간: ", (endTime-startTime) );
}
}
/*
ArrayList 걸린 시간: 5813200 ns
LinkedList 걸린 시간: 880900 ns
*/
Set 컬렉션
Set 컬렉션은 저장 순서가 유지되지 않는다.
또한 객체를 중복해서 저장할 수 없고, 하나의 null만 저장할 수 있다.
Set 컬렉션은 수학의 집합에 비유될 수 있다.
집합은 순서와 상관없고 중복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구분
HashSet
LinkedHashSet
TreeSet
정렬 여부
❌ 없음 (순서 무작위)
✅ 입력 순서 유지
✅ 자동 정렬 (오름차순)
성능
✅ 가장 빠름
약간 느림
❌ 가장 느림
기반 구조
HashMap
HashMap + LinkedList
TreeMap (Red-Black Tree)
null 허용
✅ 1개 가능
✅ 1개 가능
❌ 금지 (예외 발생)
사용 목적
빠른 중복 제거
순서 유지 + 중복 제거
정렬된 데이터 관리
Set 컬렉션에는 HashSet, LinkedHashSet, TreeSet 등이 있는데, Set 컬렉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Set 인터페이스의 메소드는 아래 표와 같다.
기능
메소드
설명
객체 추가
boolean add(E e)
주어진 객체를 성공적으로 저장하면 true를 리턴하고 중복 객체면 false를 리턴
객체 검색
boolean contains(Object o)
주어진 객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
isEmpty()
컬렉션이 비어 있는지 조사
Iterator<E> iterator()
저장된 객체를 한 번씩 가져오는 반복자 리턴
int size()
저장되어 있는 전체 객체 수 리턴
객체 삭제
void clear()
저장된 모든 객체를 삭제
boolean remove(Object o)
주어진 객체를 삭제
Iterator<E> iterator() 이 메소드는 Interface Iterable<E>의 추상 메소드이다. Iterable을 한국어로 번역하면 '반복할 수 있는'이다. 향상된 for문에서 선언할 수 있는 객체는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만 올 수 있다. iterator() 메소드를 호출하면 해당 객체의 참조를 Iterator 타입으로 가져온다.
HashSet
Set 컬렉션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HashSet이다.
아래는 HashSet 컬렉션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Set<E> set = new HashSet<E>();
Set<E> set = new HashSet<>();
Set set new Hashset();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HashSet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HashSet 컬렉션 생성
Set<String> set = new HashSet<String>();
//객체 저장
set.add("Java");
set.add("JDBC");
set.add("Servlet/JSP");
set.add("Java"); //<-- 중복 객체이므로 저장하지 않음
set.add("iBATIS");
//저장된 객체 수 출력
int size = set.size();
System.out.println("총 객체 수: " + size);
}
}
/*
총 객체 수: 4
*/
public class Member {
public String name;
public int age;
public Member(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hashCode 재정의
@Override
public int hashCode() {
return name.hashCode() + age;
}
//equals 재정의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bj) {
if(obj instanceof Member target) {
return target.name.equals(name) && (target.age==age) ;
} else {
return false;
}
}
}
HashSetExample.java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HashSet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HashSet 컬렉션 생성
Set<Member> set = new HashSet<Member>();
//Member 객체 저장
set.add(new Member("홍길동", 30));
set.add(new Member("홍길동", 30));
//저장된 객체 수 출력
System.out.println("총 객체 수 : " + set.size());
}
}
/*
총 객체 수 : 1
*/
객체 가져오기
Set 컬렉션은 인덱스로 객체를 검색해서 가져오는 메소드가 없다.
대신 객체를 한 개씩 반복해서 가져와야 하는데,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 for 문을 이용하는 방법
for문에서 HashSet 객체를 직접적으로 추가 및 삭제를 하면 안 된다.
Set<E> set = new HashSet<E>();
for(E e : set)
{
for(String element : set)
{
if(element.equals("JSP"))
{
set.remove(element);
}
}
}
위 코드에서 set의 객체의 개수가 4개라고 하면, 처음에 for문은 반복하는 횟수가 4번으로 정해져 있다. 하지만 중간에 remove나 add 메소드로 인해서 set 객체의 개수가 감소 또는 증가하면 4번 반복을 돌아야하는데 객체의 수가 4개 미만 또는 초과이므로 for문은 오류를 내뿜는다. 따라서 직접적인 add나 remove 메소드 호출은 지양해야 한다.
추가 또는 삭제를 하려면 iterator() 메소드로 반복자를 얻어서 작업을 하는 것이 안전하다.
2. iterator() 메소드로 반복자를 얻어 객체를 하나씩 가져오기
Set<E> set = new HashSet<E>();
Iterator<E> iterator = set.iterator();
iterator는 Set 컬렉션의 객체를 가져오거나 제거하기 위해 아래의 메소드를 제공한다.
리턴 타입
메소드명
설명
boolean
hasNext()
가져올 객체가 있으면 true를 리턴하고 없으면 false를 리턴
E
next()
컬렉션에서 하나의 객체를 가져온다.
void
remove()
next()로 가져온 객체를 Set 컬렉션에서 제거한다.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다.
while(iterator.hasNext()) {
E e = iterator.next();
}
hasNext() 메소드로 가져올 객체가 있는지 먼저 확인하고, true를 리턴할 때만 next() 메소드로 객체를 가져온다.
만약, next()로 가져온 객체를 컬렉션에서 제거하고 싶다면 remove() 메소드를 사용한다.
HashSet 추가, 삭제, 제거 예제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HashSet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HashSet 컬렉션 생성
Set<String> set = new HashSet<String>();
//객체 추가
set.add("Java");
set.add("JDBC");
set.add("JSP");
set.add("Spring");
//객체를 하나씩 가져와서 처리
Iterator<String> iterator = set.iterator();
while(iterator.hasNext()) {
//객체를 하나 가져오기
String element = iterator.next();
System.out.println( element);
if(element.equals("JSP")) {
//가져온 객체를 컬렉션에서 제거
iterator.remove();
}
}
System.out.println();
//객체 제거
set.remove("JDBC");
//객체를 하나씩 가져와서 처리
for(String element : set) {
System.out.println(element);
}
}
}
/*
Java
JSP
JDBC
Spring
Java
Spring
*/
TreeSet
TreeSet은 이진 트리를 기반으로 한 Set 컬렉션이다.
이진 트리는 여러 개의 노드가 트리 형태로 연결된 구조로, 루트 노드라고 불리는 하나의 노드에서 시작해 각 노드에 최대 2개의 노드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TreeSet에 객체를 저장하면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정렬된다.
부모 노드의 객체와 비교해서 낮은 것은 왼쪽 자식 노드에, 높은 것은 오른쪽 자식 노드에 저장한다.
아래는 트리셋 컬렉션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TreeSet<E> treeSet = new TreeSet<E>();
TreeSet<E> treeSet = new TreeSet<>();
Set 타입 변수에 대입을 하면 자식인 TreeSet 메소드를 사용할 수 없다.
아래는 TreeSet의 검색 관련 메소드들이다.
리턴 타입
메소드
설명
E
first()
제일 낮은 객체를 리턴
last()
제일 높은 객체를 리턴
lower(E e)
주어진 객체보다 바로 아래 객체를 리턴
higher(E e)
주어진 객체보다 바로 위 객체를 리턴
floor(E e)
주어진 객체와 동등한 객체가 있으면 리턴, 만약 없다면 주어진 객체의 바로 아래의 객체를 리턴
ceiling(E e)
주어진 객체와 동등한 객체가 있으면 리턴, 만약 없다면 주어진 객체의 바로 위의 객체를 리턴
poolFirst()
제일 낮은 객체를 꺼내오고 컬렉션에서 제거
poolLast()
제일 높은 객체를 꺼내오고 컬렉션에서 제거
Iterator<E>
decendingIterator()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Iterator를 리턴
NavigableSet<E>
decendingSet()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NavigableSet을 리턴
headSet( E toElement, boolean inclusive)
주어진 객체보다 낮은 객체들을NavigableSet으로 리턴, 주어진 객체 포함 여부는 두 번째 매개값에 따라 달라짐
tailSet( E fromElement, boolean inclusive)
주어진 객체보다 높은 객체들을NavigableSet으로 리턴, 주어진 객체 포함 여부는 두 번째 매개값에 따라 달라짐
headSet( E fromElement, boolean fromInclusive, E toElement, boolean toInclusive)
시작과 끝으로 주어진 객체 사이의 객체들을NavigableSet으로 리턴. 시작과 끝 객체의 포함 여부는 두 번째, 네 번째 매개값에 따라 달라짐
public class Person implements Comparable<Person> {
public String name;
public int age;
public Person(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Person o) {
if(age<o.age) return -1;
else if(age == o.age) return 0;
else return 1;
}
}
ComparableExample.java
import java.util.TreeSet;
public class Comparable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eeSet 컬렉션 생성
TreeSet<Person> treeSet = new TreeSet<Person>();
//객체 저장
treeSet.add(new Person("홍길동", 45));
treeSet.add(new Person("감자바", 25));
treeSet.add(new Person("박지원", 31));
//객체를 하나씩 가져오기
for(Person person : treeSet) {
System.out.println(person.name + ":" + person.age);
}
}
}
/*
감자바:25
박지원:31
홍길동:45
*/
Comparator
비교 기능이 있는 Comparable 구현 객체를 TreeSet에 저장하거나 TreeMap의 키로 저장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비교 기능이 없는 Comparable 비구현 객체를 저장하고 싶다면 TreeSet과 TreeMap을 생성할 때 비교자(Comparator)를 아래와 같이 제공하면 된다.
TreeSet<K, V> treeSet = new TreeMap<E>(new ComparatorImpl());
TreeMap<K, V> treeMap = new TreeMap<K, V>(new ComparatorImpl());
비교자는 Comparat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를 말하는데, Comparator 인터페이스에는 compare() 메소드가 정의되어 있다.
비교자는 이 메소드를 재정의해서 비교 결과를 정수 값으로 리턴하면 된다.
리턴 타입
메소드
설명
int
compare(T o1, T o2)
o1과 o2가 동등하다면 0을 리턴 o1이 o2 앞에 오게 하려면 음수를 리턴 o1이 o2 뒤에 오게 하려면 양수를 리턴
아래는 Comparable을 구현하고 있지 않은 사용자 정의 객체를 TreeSet에 저장하는 예제이다.